1. 자기 관리(Self-Care)의 중요성
- 클라이언트의 고통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서비스 제공자는 심리적 소진 위험이 높습니다.
- 마음 챙김과 균형 있는 생활은 웰빙을 지키는 핵심 전략입니다.
- COVID-19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에 대응해, CAMH 등 기관에서는 전문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2. 연민 피로(Compassion Fatigue)
- 장기간의 감정·신체적 피로로 인해 공감 능력이 저하되고 냉소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.
- 주요 신호: 두통, 수면 장애, 우울감, 알코올 사용 증가 등
- 대처법: 명확한 경계 설정, 규칙적인 휴식, 자기 돌봄 루틴이 필요합니다.
3. 2차 외상 & 번아웃
- 2차 외상: 클라이언트의 트라우마를 간접 경험하며 생기는 정서적 충격
- 번아웃(Burnout): 장기적인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정서적 탈진, 냉소, 무기력
- Spinetta 등(2000)은 번아웃을 점진적이고 누적적인 과정으로 설명합니다.
- 조기 인식과 개입이 매우 중요합니다.
4. 경계 설정 & 자기 관리 계획
- 경계 모호는 피로를 가중시키고 윤리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음
- Reamer(2003)에 따르면, 경계 넘기(Crossing)와 위반(Violation)을 구분하고 전문성 유지 필요
- 퀴즈 예시: 사적인 고민을 클라이언트에게 털어놓는 것은 부적절한 경계 넘기
✅ 실천 전략:
- ABC 접근법(Health Canada)
- Awareness(인식): 자기 상태를 인식
- Balance(균형): 일과 삶의 균형
- Connection(연결): 동료, 가족과의 지지 체계
- 자기 관리 계획 세우기: 취미, 운동, 가족과의 시간 등을 구체적으로 설정